제4과 영적 전쟁에서 예배와 그 역할

서론: 그리스도 예수의 피가 우리를 정결케 하고 우리로 왕과 제사장으로 다스릴 수 있게 했습니다.  우리는 바로 이런 목적을 위해 하나님에 의해 구별되어졌습니다.  수많은 성경 구절들이 우리의 제사장적 소명을 끊임없이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자의 아름다운 덕을 선전하게 하려 하심이라”(벧전2:9)

“또 충성된 증인으로 죽은 자들 가운데서 먼저 나시고 땅의 임금들의 머리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기를 원하노라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시고 그 아버지 하나님을 위하여 우리를 나라와 제사장으로 삼으신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 아멘”(계1:5-6)

“이 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들은 복이 있고 거룩하도다 둘째 사망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 도리어 그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년 동안 그리스도로 더불어 왕노릇하리라”(계20:6)

Ⅰ. 구약과 신약에서의 제사장직의 기능

A. 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구약에서, 속죄는 사람들을 대신해 제사장이 잡은 소와 염소, 그리고 다른 짐승들의 피를 통해 이루어졌다.  백성들의 죄를 속하기 위해 일년에 한 차례 지성소에서 대제사장에 의해 드려졌다.
“오직 둘째 장막은 대제사장이 홀로 일년 일차씩 들어가되 피 없이는 아니하나니 이 피는 자기와 백성의 허물을 위하여 드리는 것이라”(히9:7)

2. 신약에서, 속죄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단번에 모든 사람을 위해 이루어졌다.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 가셨느니라”(히9:12)

B.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구약의 제사장은 매일 제사를 드렸다.

“이 모든 것을 이같이 예비하였으니 제사장들이 항상 첫 장막에 들어가 섬기는 예를 행하고”(히9:6)

2. 신약에서, 영원한 희생제사는 이미 드려졌다.  그래서 신약의 제사장이 해야 할 유일한 남겨진 일은 예배하는 것이다.

3. 예수님의 죽음으로 성소를 가렸던 휘장이 찢어졌을 때(마27:51a), 그 때 예배자들은 지성소로 들어갈 수 있었다.  예수님의 피를 통해, 우리는 이제 하나님의 그 보좌로 나아가는 ______________를 갖게 되었다.

Ⅱ. 예배의 기초

A. 예배는 성령 안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에 기초한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지니라”(요4:24).

1.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실 때, 우리는 ____________함으로 응답해야 한다.  요한계시록 4:2에, 요한은 성령 안에서 하나님을 보았고, 이사야 6:1에, 이사야는 성령 안에서 주님을 보았다.

2. 하나님은 진정한 예배자들을 찾고 계신다.  이것이 하나님의 마음의 소망이다. 헬라어에서 ‘예배자’ 라는 말은 “숭배하는 사람, 혹은 입맞춤하는 사람”을 뜻하는데,  그것은 주인의 손을 핥는 개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3. 성령 안에서 하나님을 예배할 때, 우리는 진정으로 친밀하게 하나님과 면대하게 된다.

B. 예배는 예수님의 _______________ 에 기초한다.

1. 우리가 예수님을 예배하는 것은 우리를 위해 행하신 일들로 인해 찬양받으시기에 합당하기 때문이다.

“새 노래를 노래하여 가로되 책을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 하시도다 일찍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계5:9)

2. 예수님의 측량할 수 없는 가치를 깨달았을 때, 우리의 마음에 진정한 겸손이 생기고, 향유옥합을 깨뜨렸던 여인처럼(눅7:37-38), 그 분을 경외하게 될 것이다.

C. 진정한 예배는 ____________에 이끌리는 것이지 마음에 이끌리는 것이 아니다.

1. 예배는 단호한 의지나 마음의 결과가 아니고, 하나님의 본성이 계시되어진 마음으로부터 생겨난다.  이런 계시는 성령으로부터만 유래한다.
2. 에스겔44:15에, 사독의 아들들은 양모가 아닌 베로 된 속옷을 입도록 했다.  18절에 그 이유가 나온다: “…땀나게 하는 것으로 허리를 동이지 말 것이며.”  예배는 “땀 없는 것”, 혼적인 격렬한 수고가 아닌 영으로부터의 편안한 흐름이어야 한다.

D. 우리 속에 계신 성령님은 우리의 영으로 끊임없이 주님을 예배한다.

1. 구약에, 휘장 앞에 있는 등은 계속 켜 있어야 했다(레24:1-4).  이것은 우리 영 안에 있는 성령님을 예시하는데, 성령님은 거기서 항상 하나님을 예배한다.

2. 우리는 성령님의 흐름을 단절시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성령을 소멸치 말며”(살전5:19)

 

Ⅳ. 예배를 방해하는 것들

A. 예배를 방해하는 첫째가는 방해요소는 ____________________이다.

“여호와의 언약궤가 다윗성으로 들어올 때에 사울의 딸 미갈이 창으로 내어다 보다가  다윗 왕의 춤추며 뛰노는 것을 보고 심중에 업신여겼더라”(대상15:29)

1. 교만과 예배는 정반대다.  교만은 사람을 높이지만, 예배는 하나님을 높인다.

2. 사탄은 교만 때문에 하늘에서 쫓겨났다: 사탄은 하나님께만 드려져야 하는 예배를 자신이 받으려고 했다(사14:12-13).

B. 예배를 방해하는 또 한 가지 일반적인 방해요소는 ____________________이다.

“이 재앙에 죽지 않고 남은 사람들은 그 손으로 행하는 일을 회개치 아니하고 오히려 여러 귀신과 또는 보거나 듣거나 다니거나 하지 못하는 금, 은, 동과 목석의 우상에게 절하고”(계9:20)

Ⅴ. 예배의 결과

A. 마태복음은 유대인의 왕에게 예배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뇨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하니”

여기서 예배에 사용된 헬라어 단어(‘프로스퀴네오’-입맞춤하는 것을 뜻함)는  마태복음에서 10번 사용된 반면, 마가나 누가복음에서는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고,  요한복음에만 한 번 사용되었다.  마태는 유대인의 왕께 예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B. 예배는 ________________를 가져온다.

“한 문둥병자가 나아와 절하고 가로되 주여 원하시면 저를 깨끗케 하실 수 있나이다 하거늘”(마8:2)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실 때에 한 직원이 와서 절하고 가로되 내 딸이 방장 죽었사오나 오셔서 그 몸에 손을 얹으소서 그러면 살겠나이다 하니”(마9:18)

“여자가 와서 예수께 절하며 가로되 주여 저를 도우소서”(마15:25)

C. 예배는 ________________을 가져온다.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기더니”(출17:11)

1. 손을 드는 것은 찬양을 나타내고, 그것은 하나님을 그 곳에 모셔오는 것이다.

2. 여리고(수6:5)와 구약성경에 나오는 다른 많은 예들(역대하 20:22)에서 예배는 승리에 결정적이었다.  주님은 이스라엘의 어린이들이 예배하는 동안 적들을  물리치셨다(20:13).

그룹활동: 세 사람씩 짝을 짓고, 진정한 예배자가 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각자에게 드러내 주시도록 서로를 위해 기도하라.  그런 것들을 서로 서로 고백하고, 끊어버리라.

과    제: 진정한 예배자의 본보기였던 인물들을 세 사람씩 신약성경과 구약성경에서 찾으라.  적절한 참고 성경구절을 제시하라.

 

[해답] 속죄; 예배; 통로; 예배; 가치; 성령님; 교만; 우상숭배; 치유; 구원